
Honnip
#청와대 다녀왔다. 마침 적절한 날씨였다.
#청와대 다녀왔다. 마침 적절한 날씨였다.
오픈스트리트맵에 명동찌개마을 지점이 매핑되고 있다. 회사에서 직접 하는 것 같은데, 이런 경우는 처음 봐서 신기하다.
주소랑 전화번호, 영업시간, 심지어 한식당이라는 정보까지 꼼꼼하게 매핑됐다. ㅋㅋ
changeset/168333299 changeset/168334088 changeset/168376461 changeset/168376685 changeset/168377067
이제 밥다운 밥을 먹을 수 있겠다
https://fed.brid.gy/r/https://bsky.app/profile/did:plc:uabkr6tn7ru4b4e5e6udleuf/post/3lsthtc3j722m
문진석 "15만~50만원 소비쿠폰 7월내 집행…상법개정 3·4일중 처리"
업데이트 2025.06.30 오전 10:20
"야당 끝내 반대하면 3일 추경·총리 인준안 함께 처리"
"추경 통과해야 소비쿠폰 휴가철 맞아 소비진작 효과" www.news1.kr/politics/ass...
문진석 "15만~50만원 소비쿠폰 7월내 집행…상법개정...
lib = nixpkgs.lib.extend (_: _: builtins)
🥀🥀🥀
Today, we (@bkuhn & @richardfontana) excitedly announce that we have restarted, revitalized, and relaunched copyleft-next!
Today, #GPLv3 turns exactly 18 years old. This month, #GPLv2 turned 34 years old. These are both great licenses and we love them. Nevertheless, at least once in a generation, #FOSS needs a new approach to strong #copyleft.
Read more in this thread about the relaunch of the copyleft-next project … ( or read more on the post here: https://lists.copyleft.org/pipermail/next/2025q2/000000.html )
안녕하세요, SNS 프로젝트로 Jeju.social을 만들었습니다. 제주도의 친구, 가족, 기업들이 안전하게 사진과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온라인 커뮤니티입니다. 외국인들과도 함께요. 즐거운 시간 보내세요.
Hello, I created Jeju.social as a social media project. It is an online community where friends, family, and businesses on Jeju Island can share photos and information safely. Even for foreigners. Please enjoy.
오픈스트리트맵 위키의 Good practice 템플릿은 한국어 번역이 세 개나 있다 🤯
그와중에 모르고 문서 이동을 해서 같은 목적의 문서가 4개가 됐다.. 좀 더 주의했어야 했는데.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라는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은 그동안 대성공을 거두어 오고 있습니다. 여기에는 여러 요인이 있지만, 중요한 요인 중 하나는 이것입니다. 상업 소프트웨어든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든 공평하게 프로그래머의 시간을 들인 만큼 개발된다는 것이지요. 능력 있는 소프트웨어 개발자가 시간을 기여하면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는 상업 소프트웨어만큼이나 빠르게 성장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AI 프로그래밍의 시대가 빠르게 다가오고 있습니다. 앞으로 소프트웨어 개발은 프로그래머의 시간만으로 개발되지 않습니다. 상업소프트웨어는 AI 프로그래밍을 적극적으로 사용하여 이전과 다른 생산성으로 개발되기 시작할 것입니다. 상업 소프트웨어와 달리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는 언제나 그럴 수는 없습니다. 프로젝트의 성장과 유지를 위해 훌륭한 프로그래머들의 시간을 들이는 것을 넘어서, 훌륭한 프로그래머들이 시간에 더해 비용까지 들여야 한다면요.
상업 소프트웨어와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사이의 불균등한 생산성의 시대가 코앞까지 다가오고 있습니다.
문제는 여기서 그치지 않습니다. 오픈소스 프로젝트는 새 기여자를 얻기 더 힘들어져가고 있습니다. 왜냐하면 이제 'good first issue'라는 것은 의미가 없기 때문입니다. 그 정도로 쉬운 일은 새로운 기여자 대신 로봇이 해결할 가능성이 높고, 그 로봇은 새로운 기여자의 로봇일 수도 있습니다. 결국 AI 프로그래밍으로 기여하는 새 기여자는 이 프로젝트에 대해 거의 배우지 못하게 됩니다.
전통적인 오픈소스 생태계에서 'good first issue'는 단순히 쉬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아니었습니다. 새로운 기여자가 프로젝트의 코드베이스를 이해하고, 개발 프로세스를 익히며, 커뮤니티와 소통하는 법을 배우는 학습 과정이었습니다. 하지만 AI가 이런 단순한 작업들을 대신 처리하게 되면, 새로운 기여자들은 진입 기회를 잃게 됩니다.
AI 프로그래밍은 완벽하지 않습니다. 숙련된 전문가가 숙련된 도메인에서 작업하는 것만큼 잘하지는 못합니다. 하지만 비숙련된 프로그래머가 처음 보는 프로젝트에서 작업하는 것보다는 잘할 때가 많습니다.
그러나 많은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는 바로 이런 비숙련 기여가 성장의 한 축을 차지합니다. 처음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개발자들의 작은 기여들이 모여 거대한 프로젝트가 됩니다. 그리고 이런 비숙련 기여의 일부는 손쉽게 AI가 대체할 수 있는 기여입니다.
다행히도 지금은 AI 프로그래밍의 초창기입니다. Gemini CLI가 무료 사용량을 제공하듯이, 앞으로 여러 회사들이 비슷한 기회를 제공할 것입니다. Claude, ChatGPT, Copilot 등 다양한 AI 도구들이 개인 사용자에게 무료 크레딧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오픈소스 프로젝트에 기여할 새로운 기회로 삼을 수 있을까요?
주의: 이 글은 아무 프로젝트에나 방문해서 AI로 적당한 코드를 생성한 다음 패치를 보내라는 뜻이 아닙니다.
AI 프로그래밍은 (아직은) 마법이 아닙니다. "이 프로젝트를 겁나 멋지게 만들 기능을 추가해주세요"라고 한다고 해서 그런 패치가 나오는 식으로는 동작하지 않습니다.
가장 좋은 방법은 프로젝트가 AI 친화적으로 준비되는 것입니다. 바로 작업할 수 있을 만큼 잘 정의된 이슈들이 있는 프로젝트라면, "nnn 번 이슈에 대해 작업해 주세요"라는 요청만으로도 누구나 기여할 수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적어도 아직은) 그런 프로젝트가 많지는 않을 것입니다.
대신 AI는 인간과 비대칭적으로 잘하는 기능이 있습니다.
이를테면 이슈에 minimal reproducible case가 보고되어 있지만 아직 구체적으로 발생하는 원인이 밝혀져 있지 않은 경우를 생각해봅시다. 버그를 고치는 사람이 해야하는 지루한 작업 가운데 하나는, 이 문제를 어떻게 수정할지를 생각하기에 앞서 이 문제가 어디서 발생하는지 찾는 것입니다. 디버거를 써야 할 수도 있고, 코드에 많은 trace log를 남겨야 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AI 코딩 에이전트는 테스트가 재현 가능하기만 하다면, 문제를 발생시키는 정확한 줄을 찾아내는 데 탁월합니다. 지치지 않고 정석적인 지루한 방법으로 꾸준히 로그를 추가하고 테스트를 다시 실행하면서 문제를 찾아내거든요.
어쩌면 문제의 원인이 아주 단순해서, 문제를 바로 수정할 수 있을지도 모릅니다! 그렇다면 패치를 제출해도 좋겠지요. 하지만 바로 수정하기까지는 어렵더라도 괜찮습니다. 버그 리포트와 실제 코드의 문제를 매핑하는 것은 그 자체로 지루하고 시간이 걸리는 일입니다. 이것을 대신하는 것으로도 큰 작업을 대신하는 것입니다.
주의: 모든 프로젝트가 AI 기여를 환영할 리는 없습니다. 충분히 유용하게 다듬어지지 못한 유형의 AI 기여는 스팸처럼 느껴질 가능성이 있음을 유의해야 합니다.
사실 누구나 자기 라이브러리를 뚝딱 만들어낼 수 있게 되었다는 점에서 오픈소스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사람들의 동기와 기여 방식 자체가 크게 뒤바뀔 가능성이 높습니다.
AI 프로그래밍을 누구나 거의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시대가 올까요? 아마 어느 정도의 사용량까지는 그럴 것입니다. 그것이 얼마나 많은 양일지에 따라서 오픈소스 프로젝트의 미래는 크게 바뀌겠지요.
만일 정말로 AI 프로그래밍을 누구나 무제한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면, 대규모가 아닌 대부분의 오픈소스 프로젝트에는 더이상 협력이 필요하지 않을 것입니다. 진정으로 '어떻게'보다 '무엇을'이 더 중요한 시대가 온다면, 프로젝트의 목표를 확고하게 가진 사람이 극한의 완성도까지 프로젝트를 밀어붙이는 편이 훨씬 좋은 결과를 만들겠지요.
그런 시대가 올지 오지 않을지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그 전까지는, AI 프로그래밍이 누구에게나 주어지는 기회이지만 프로젝트를 단숨에 완성할만큼 주어지지는 않는 시대가 유지되는 동안에는, 다음 세대의 오픈소스 기여의 방법은 AI 프로그래밍 사용량을 기여하는 것이 하나의 큰 축이 될 것입니다.
An official announcement will come soon, but if you are using the #Lix package manager, it's recommended you upgrade NOW.
For more details, read https://lix.systems/blog/2025-06-24-lix-cves/.
This blog post will be updated with more information as we go (PRs in nixpkgs, etc.).
Security pre-disclosure:
A critical security advisory for #Nix and #Lix (and #Guix) will be published tomorrow at 14:00 UTC.
If you're building untrusted derivations, you must upgrade to ensure your systems remain secure.
Lix versions 2.91, 2.92, 2.93, and main will receive upgrades on all known channels to Lix. Lix 2.90 WILL NOT receive upgrades.
More details are available in the pre-disclosure post:
https://discourse.nixos.org/t/pre-disclosure-announcement-security-advisory-for-nix-and-lix-on-june-24-2025/65831
Please stay alert for the full announcement tomorrow at 14:00 UTC.
@[email protected] · Reply to wakest ⁂'s post
@liaizon As a person living in Iran, I can explain the situation. For almost 3 days, our connection to global websites was blocked completely (it's a bit better now on home WiFis, but still a living nightmare), and only the local websites hosted on Iranian servers worked. We didn't have Google, GitHub or any other websites; we couldn't connect to our servers outside of Iran through SSH. The only way a very small number of people had access to the internet was that they bought...
in case someone here didn't hear about this, it seems there will be a security release for lix, nix and guix on the 24th
EDIT: Patches have been released for lix and nix now
- https://lix.systems/blog/2025-06-24-lix-cves/
- https://discourse.nixos.org/t/security-advisory-privilege-escalations-in-nix-lix-and-guix/66017
#lix #nix #guix #nixos
- ko=、
+ ko=, 
“Five Guys are zero-indexed” is probably the most trivial technical fact I will learn today.
Discovered Turbo Overpass has a route diagram generator. Might help quality control of the bus stops I'm looking at. Except it generates 2 labels per stop, it seems. Trying to discern if the data are really bad or what. #OSM
https://overpass-api.de/api/sketch-line?network=BaltimoreLink&ref=59&operator=
이제 그놈 지도에서 한국 길 찾기가 된다 😲
Here's an overview of the public transport data that goes into #Transitous via #GTFS, #GBFS and #OSM, and how you can help to extend this in your region: https://volkerkrause.eu/2025/06/14/transitous-adding-data.html
Any improvement there benefits applications like #GNOME Maps, #KDE Itinerary or #Träwelling.
이제 가습기는 정리해야겠다.
오픈스트리트맵에서 폐쇄된 따릉이 대여소를 정리했다. 지도 데이터는 너무나 빨리 썩어버리지만 썩은 데이터를 골라내기는 너무 어렵다.
changeset/167490539, changeset/167490402, changeset/167490319, changeset/167490264, changeset/167489738, changeset/167489667, changeset/167489584, changeset/167488790
카카오맵에 초정밀 지하철 기능이 생겼는데, 예전에 인상 깊게 본 Mini Tokyo 3D가 떠올랐다.
나도 저런 걸 만들고 싶어져서 3D는 어려워도 2D 지도 위에 그리는 건 어떻게든 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했지만 한국에는 관련 API가 없어서 삽도 못 뜨고 포기했던 것도 기억났다 😅
IP/Port: 99.251.254.190:5900
Hostname: pool-99-251-254-190.cpe.net.cable.rogers.com
Client Name: chipi chipi chapa chapa
Location: Willowdale, Ontario, CA 🇨🇦
ASN: AS812 Rogers Communications Canada Inc.
VNC Password: N/A
ID: 23981179
Added to DB: 05/06/2025, 10:39:46 PM (UTC)
Last seen: 05/06/2025, 06:52:41 PM (UTC)
https://computernewb.com/vncresolver/browse#id/23981179
{
boot.initrd.luks.devices."...".bypassWorkqueues = true;
}
리눅스 홈 서버에 dm-crypt (cryptsetup 툴)를 이용하여 디스크 암호화를 하시는 분들..
cryptsetup 에 --perf-no_read_workqueue 랑 --perf-no_write_workqueue 옵션 달아보세요. 저는 이거 먹이고 쓰기 지연시간이 자주 폭발하는 문제 가 일거에 사라졌습니다.. (물론 여러분의 상황에서는 다르게 작용할수도 있습니다)
- SSD뿐만 아니라 HDD에도 효과가 있습니다 (첨부된 사진이 제 홈서버 HDD의 쓰기 지연시간입니다. 15:50 전후로 옵션 적용)
- 참고 https://wiki.archlinux.org/title/Dm-crypt/Specialties#Disable_workqueue_for_increased_solid_state_drive_(SSD)_performance
I wish there was an easier way to save posts
@[email protected] · Reply to seungjin's post
@seungjin @sung-il-kim.com 네. 브릿지에 연결해야 전송이 되는 것 같네요
It’s 24 degrees and SUPER sunny… but also 30kph winds. We need a name for this weather condition of “sunny but feels like a typhoon.” I propose 해풍 (日風)😎
@[email protected] · Reply to seungjin's post
@seungjin @sung-il-kim.com AI가 그대로 배워서 다를 게 없다는 말씀인 것 같습니다.
Our website is live, over at https://nixseoul.club! We have a form up for anyone who's interested in attending!
AMA!
Feel free to ask about my projects, Nix things, etc!
I'm collecting all 242 unique treasures in #Pikmin 2 across the three regions (US, JP, and PAL). I've created this web page which automatically updates as I collect more treasures while playing on real #GameCube hardware.
👉 https://sethmlarson.dev/pikmin-2-international-treasure-hoard